커뮤니티

"남들은 미쳤다지만 멋지다는 아이들… 그럼 된 거죠"

김삿갓
2010.01.25 11:22 1,028 0

본문

오늘도 은행잔고를 보면서 걱정을 하는 우리의 삶속에서
인간들이 만들어내고 돌려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을 잃어가는 자신을 돌이켜 보면
삶속의 행복에 대한 후회를 하기도 한다.
 
오늘 이런기사와 잭 캘리라 기자의 글을 보니 나의 삶에 대한 반성이 더욱더 머리속에서 맴돈다.
  아래의 세모를 클릭하시면 음악이 나옵니다.  글과 같이 감상을 하시면 됩니다.

 

"남들은 미쳤다지만 멋지다는 아이들… 그럼 된 거죠"

2010012400786_0.jpg
유덕종씨는“한국에 있었다면 돈은 벌었겠지만, 사는 게 허무하지 않았을까요? 아이들은‘우리 아빠 너무 멋지다’고 해요. 그럼 된 거 아닌가요?”라고 했다. /이덕훈 기자 leedh@chosun.com
우간다에서 '나 홀로 의료봉사 18년' 의사 유덕종씨

딸 뇌염걸려 죽을 고비도 자금난 불구, 병원 건립 중

우간다·한국 지원은 전무 그래도 목표 있어 행복해


18년 전인 1992년, 서른세 살 유덕종(51)씨는 우간다로 향했다. 세 살·두 살 딸들과 셋째(아들)를 임신한 부인이 눈에 밟혔지만, 아프리카 의료봉사는 이 젊은 의사의 오랜 꿈이었다. 우간다 수도 캄팔라의 물라고 국립병원에 도착했다. 하지만 체온계·혈압계는커녕 소독약 냄새조차 없었다. 1500개 침대에 에이즈와 결핵 환자만 넘쳤다.

"그 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하루 40~50명의 입원 환자를 봤지만 약이 없으니 죽어나가는 사람이 태반이었어요. 그나마 병원에 온 사람은 행운이었죠. 인구의 60%가 의사 한 번 만나 본 적 없이 생을 마감합니다. 보람은커녕 좌절이 심했어요."

유씨는 경북대 의대를 졸업하고 군의관을 마친 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정부파견의사로 우간다에 갔다. 이후 2년짜리 계약을 계속 갱신해가며 남았다. 2008년 코이카가 파견의 제도를 없앤 후에도, 그는 남아서 진료하고 있다. 20년 가까이 아프리카에서 의료봉사하는 이는 드물다. 치안도 불안하고, 질병에 걸릴 위험도 높기 때문이다. 그는 "나도 에이즈 환자를 치료하다 주삿바늘에 찔리고, 결핵이 옮아 늑막염으로 한참 고생했었다"고 했다.

우간다 도착 8개월 후에 합류한 가족의 고생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초등학교 2학년 큰딸이 뇌염에 걸렸을 때 혼비백산했다. 경련을 일으키고 숨도 제대로 쉬지 못했지만 인공호흡기를 갖춘 병원은 하나도 없었다. 전기마저 끊긴 터라, 부부는 어둠 속에서 딸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몇 주 만에 기적적으로 살아났어요. 이젠 정말 귀국하자, 내가 발버둥친다고 뭐가 달라지나 싶었어요. 그런데… 떠날 수 없었습니다. 도움을 갈망하는 눈빛들을 등지고 내가 편하게 살 수 있을까 싶었어요. 딸도 '나는 아빠 덕에 나았지만, 아빠가 가면 여기 사람들은 어떡하느냐'고 하더군요."

귀국 대신, 그는 '병원다운 병원을 짓자'는 목표를 세웠다. 우간다 병원의 문제는 의료시설 부족에 앞서, 환자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점이었다. "의사·간호사 간 협업 시스템이 전무했어요. 약이나 의료기기 도난도 흔하고요. 병원식(食)도 없어서 환자들이 굶주려 죽어나갔죠. 독재정권은 가난한 사람들 고통에 무관심했고, 힘 있는 사람들은 이웃 나라에 가서 치료하고 오면 그만이었죠."

그는 2002년부터 병원을 짓고 있다. 의대에서 시간당 9000원짜리 강사로 일해서 번 돈도 쏟아붓고 있다. 그런 그가 우간다 정부로부터 받은 것은 2000년 '내과 분야 최고 의사상'이 전부다. 고국의 지원도 전혀 없었다. "우리 정부에서 몇 분 오셨기에, 현지 사정과 병원 짓는 취지를 설명했어요. 가슴 아파하더군요. 그런데 몇 달 뒤 난데없이 경고장이 날아왔어요. '개인병원을 만들어 영리를 추구하려는 것 아니냐'고요. 대사관도 귀찮다는 반응이고요. 정부 도움은 포기했습니다."

유씨는 작년부터 지인들과 함께 모금에 나섰다. 80병상을 갖춘 6층 병원을 짓는데, 2층 골조까지 올린 상태에서 돈이 모자라 잠시 귀국했다.(이메일 yoouga@yahoo.com)

그는 한국에도 우간다에도 집 한 채 없다. 그래도 "사는 목표가 있어 행복하다"고 말한다. "전에는 '미쳤다'고 하는 사람이 많았어요. 한국에도 어려운 사람은 많지 않느냐고. 왜 가족까지 고생시키느냐고요. 가보지 않으면 모릅니다. 차원이 다른 가난이지요."

그의 아이들은 모두 이웃 케냐의 국제학교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녔다. 두 딸은 이후 연세대에 입학해 귀국했고, 아들은 아직 고3이다. 이제 우간다에는 부부만 단출하게 남았다.
 
************************************************************************************
817.jpg
 
 
 
잭 캘리라는 한 신문기자가 소말리아의 비극을
       취재하다가 겪은 체험담이 있습니다.


       기자 일행이 수도 모가디슈에 있을 때의 일입니다.
       그 때는 기근이 극심한 때였습니다.


       기자가 한 마을에 들어갔을 때, 마을 사람들은
       모두 죽어 있었습니다.


       그 기자는 한 작은 소년을 발견했습니다.
       소년은 온몸이 벌레에 물려 있었고,
       영양실조에 걸려 배가 불룩했습니다.


       머리카락은 빨갛게 변해 있었으며
       피부는 한 백살이나 된 사람처럼 보였습니다. 


       마침 일행 중의 한 사진기자가 과일 하나 갖고
       있어서 소년에게 주었습니다.

       그러나 소년은 너무 허약해서

       그것을 들고 있을 힘이 없었습니다.

       기자는 그것을 반으로 잘라서 소년에게 주었습니다.


 

       소년은 그것을 받아들고는
       고맙다는 눈짓을 하더니 마을을 향해 걸어갔습니다.


       기자 일행이 소년의 뒤를 따라갔지만,
       소년은 그것을 의식하지 못했습니다.

       소년이 마을에 들어섰을 때,
       이미 죽은 것처럼 보이는 한 작은 아이가

       땅바닥에  누워 있었습니다.


       아이의 눈은 완전히 감겨 있었습니다.
       이 작은 아이는 소년의 동생이었습니다.

       형은 자신의 동생 곁에 무릎을 꿇더니

       손에 쥐고 있던 과일을 한 입 베어서는

       그것을 씹었습니다.


       그리고는 동생의 입을 벌리고는

       그것을 입 안에 넣어주었습니다.

       그리고는 자기 동생의 턱을 잡고 입을 벌렸다

       오므렸다 하면서 동생이 씹도록 도와 주었습니다.

       기자 일행은 그 소년이 자기 동생을 위해

       보름 동안이나 그렇게 해 온 것을 나중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며칠 뒤 결국 소년은 영양실조로 죽었습니다.
       그러나 소년의 동생은 끝내 살아남았습니다.

      

       -------------------------------------
 죽음 앞의 극한 상황에서도
 자신보다 먼저 동생을 챙긴 형..

그 사랑 앞에 숙연해집니다.

각박한 사회 속에서
점점 멀어져가는 우리 시대의 형제애를
다시금 돌아보게 됩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002 건 - 63 페이지
제목
而山 1,015 2010.02.02
장효건 984 2010.02.01
토요산행 937 2010.01.30
jhp 937 2010.01.29
장효건 933 2010.01.29
정병수 1,420 2010.01.29
장효건 980 2010.01.28
而山 1,224 2010.01.26
而山 1,076 2010.01.26
장효건 930 2010.01.25
김삿갓 1,029 2010.01.25
토요산행 980 2010.01.23
而山 887 2010.01.25
장효건 1,009 2010.01.22
jhp 1,020 2010.01.19